지난번 대구여행자클럽을 통하여 서울투어를 계획했지만
방학중이라서 그런지 이용자가 증가하는 바람에 예약이 어려워 잊고있다가
봄바람이 살~살 부는 춘삼월 첫날에 서울투어를 떠나게 되었다.
하루라는 시간안에 많은곳을 돌아볼 수 있다는것이 이번 여행의 큰 매력이었지만
생각보단 빠듯한 일정이 부담이 되기도 한다.
오늘 여행의 일정은 광화문과 경복궁, 민속박물관, 인사동 쌈지길,
북촌한옥마을&삼청동 카페거리를 관람하고 다시 경복궁 주차장으로 돌아오는 일정이었는데
바쁘게 움직였지만 생각보단 시간이 너무 많이 걸린것 같다.
아이들과 함께 이동을 하다보니 이동속도가 느리고 우리가족 외에 친구네 가족과 함께하였기에
움직이는 동선이 더 늘어났고 중국발 미세먼지까지 합세를 하는 바람에 조금은 힘든 일정이 되었다.
[북촌민예관/삼예소주공방]
경복궁 관람을 빠르게 끝내고 북촌한옥마을로 향했다.
오기전 미리 관람계획을 세웠다면 움직여야 할 최적의 동선을 정했겠지만
도보로 이동이 가능하다고 하여 멀지않을거란 생각이 오산이었다.
우선 여행자 클럽에서 나누어 준 여행정보의 지도가 단편적으로만 나와있어서
이동하기에도 힘들었고 세부적인 내용들이 없어서 어디서 부터 관람을 하여야 할지
알수가 없었다는 점이 마음만 급하고 두서없는 관람을 하게된것 같다.
폰 네비까지 동원하여 드디어 북촌한옥마을의 초입에 들어섰다.
북촌한옥마을은 조선시대 조성된 상류층 주거지로 1920년대 까지는 큰 변화가 없다가
1930년대 서울의 행정경계가 확장되고 도시구조도 근대적으로 변형되었다고 한다.
현재 한옥들이 밀집되어있는 가회동 11번지와 31, 33번지, 삼청동35번지, 계동135번지의 한옥주거지들은
모두 이 시기에 형성되었으며 전통적인 한옥이라기 보다는 전체적으로 전통한옥의 특성을 유지하고 있으면서
새로운 조건에 적응하며 도시주택유형으로 정착되었다.
북촌 한옥의 특징은 크게 두 가지로 정의할 수 있는데, '진화된 구법'과 '장식화 경향'이 그것이라고 한다.
가끔식 잊혀져만 가는 사람들이 그리울때가 있다.
앞에보이는 나무는 회화나무이다.
[북촌5경 가회동 골목길 내림]
빼곡하게 들어선 옛스런 한옥들이 아름다운 북촌 5경 내림길은
이곳은 서울시 북촌한옥보존사업 초기부터 적극적인 골목보호 정책으로
밀집 한옥의 경관과 흔적이 가장 많이 남아있는 곳이라고 한다.
외모로 보면 내국인 인데 말소리를 들어보면 중국관광객이 정말 많다.
골목길을 누비던중 들어간 한옥인데 무엇을 하는지는 정확히는 모르겠다.
북촌5경 내림길의 좌측편으로 난 길인데 아마도 북촌 7경의 길로 이어지나 보다.
좁은 골목길이 한옥과 만나니 운치한번 제대로다.
지붕과 지붕을 이어주는 처마의 모습들도 인상적이다.
[북촌6경 가회동 골목길 오름]
산의 정상을 오른 기분이 이러한 걸까.
그분들의 희생정신이 없었다면 오늘의 대한민국은 어떤 모습일지 감사의 마음을 가져본다.
지붕의 곡선이 예술이 따로없다.
전통한옥과는 다르지만 새로운 재료를 사용하여 근대적인 도시주택으로 진화된 모습도 이채롭다.
골목과 한옥의 모습이 아름다운건 어느 한구석이라도 모나지 않는 조화로움이 아닐까 싶다.
[북촌 7경 가회동 31번지]
담벼락을 감싸고 있는 푸른 대나무와 정원수들이 여유로움을 한층 더 일깨워준다.
다른곳과는 다르게 제법 규모가 큰 한옥들이 사이좋은 친구처럼 마주보고 있다.
높은 담과 대문만 없다면 이웃과 만나는 소소한 일상도 참 재미있을것 같다.
전통한옥과는 다른듯 하지만 예스러움이 고스란히 묻어나는 전통의 향기는 그대로이다.
위치도 모르고 그냥 걷다보니 현대식 한옥이 모여있는 거리도 보인다.
가회동 31번지를 지나 도로건너편 가회동 11번지로 넘어왔다.
무슨 일이 있었던 걸까...빠른 시일내에 예전의 모습으로 돌아가길 바라본다.
한옥의 또다른 멋은 위에서 내려다 보는 느낌이 아닐까 싶다.
[북촌3경 가회동 박물관길]
근대식 한옥도 전통한옥 만큼의 아름답다는것을 북촌한옥마을에서 원없이 느끼고 간다.
골목과 골목이 끊임없이 이어지고 그 길에서 만나는 사람들의 모습에서 즐거움의 미소가 피어난다.
북촌지역은 모두 한옥으로 이루어져 있던 1960년대와 달리, 1990년대 이후 급속하게 들어선 다세대가구 주택 때문에
조선시대의 상류주거지에서 1930년대 한옥주거지, 그리고 1980년대까지의 한옥보존지구를 거쳐
기존의 전통한옥 공간에 현대적인 건축요소를 가미하여 모던한 세련미를 살리는 한편, 한식집, 한복집,
'행복 사진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북/문경시/체험행사/딸기따기]달콤한 맛이 일품인 명품 딸기를 맛보자 - 문경보석딸기농원 (0) | 2014.03.24 |
---|---|
[경북/군위군/가볼만한곳]시간이 멈춰진 마을 추억의 시간을 찾아서 화본마을로 떠나자 (0) | 2014.03.12 |
[대구/중구/가볼만한곳]'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 - 민족저항시인 이상화 고택을 방문하다 (0) | 2014.03.02 |
[대구/중구/가볼만한곳]골목투어 근대로의 여행 - 진골목에서 100년 전의 대구 역사와 만나다 (0) | 2014.02.28 |
[대구/중구/맛있는집]세월의 무게가 국밥에 고스란이 남아있다 - 국일따로국밥 (0) | 2014.02.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