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행복 사진관

[경북/의성군/가볼만한곳]소나무 숲 흙길이 아름다운 천년고찰 고운사

운사는 신라 신문왕 원년(서기 681)에 해동 화엄종의 시조이신 의상대사께서 창건하신 사찰이다. 꽃이 반쯤 핀 형국의 천하명당에 위치한 이 사찰은 원래 高雲寺였는데 신라 말 불교와 유교도교에 모두 통달하여 신선이 되었다는 최치원이 여지여사 양대사와 함께 가운루(경북 유형문화재 제151호)와 우화루를 건축한 이 그의 호인 孤雲을 빌러 孤雲寺로 바꾸게 되었다 한다.

 

히 고운사는 해동 제일 지장 도량이라 불리는 지장보살 영험 성지이다. 제시대에는 조선 불교 31총본산의 하나였고 지금은 조계종 제16교구의 본사로 의성, 안동, 영주, 봉화 영양에 산재한 60여 대소 사찰을 관장하고 있다.

 

세가 번창하였을 때는 366간의 건물에 200여 대중이 상주했던 대도량이 해방 이후 쇠락하여 많은 사찰재산이 망실되고 지금은 이십여 명 대중이 상주하는 교구본사로는 작은 규모의 사찰로 전략하였으나 10여 년 전부터 중창불사의 뜨거운 원력으로 주변을 정리하고 낡은 건물들을 수리 단청하여 지금은 위풍당당한 본산의 위상과 소박하고 절제된 수행지로서의 이미지가 절묘하게 조화를 이루고 있다고 한다.

 

찰로서는 전국에서 유일하게 입장료를 받지 않으며 민가로부터 3km 정도 떨어져 오염되지 않은 순수함을 자랑하며 일주문에 이르는 솔밭 사이 비포장길은 부처님께 진실된 마음으로 다소곳이 다가서는 불자의 마음처럼 포근하고 정감 넘치는 모습을 보여준다.

 

 

 

 

 

 

고운사 입구

앞은 주차장이지만 넓은 공간이 맘에 든다.

 

 

 

 

 

 

파란 하늘과 고운 단풍은 마음을 설레게 하고...

 

 

 

 

 

 

어쩜 이렇게 예쁘게 물들 수 있을까.

군계일학처럼 높이 솟은 소나무는 하늘에 닿을 듯 위풍당당하다.

 

 

 

 

 

높은 산의 단풍에 비할 바는 아니지만 가을은 단풍 구경이 최고다.

 

 

 

 

 

 

길게 이어진 소나무 길

비포장도로여서 발밑에서 느껴지는 흙의 감촉이 너무 좋다.

 

 

 

 

 

청정 자연 속에서 내 모습이 최고 인양 우쭐대는 소나무들의 자태

엑스 자로 교차된 소나무의 모습도 특이하다.

마치 먼지를 폴폴 날리며 달려가는 차량의 출입을 막고자 하는 건 아닐까?

 

고운사 흙길은 다 좋은데 차량 출입 통제를 하지 않아서 차량 통행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먼지가 흙길만이 주는 여유로움과 사색의 즐거움을 사라지게 만든다.

누군 편한 거 몰라서 걸어가는 거 아닌데 제발 타인을 배려하는 마음으로 걸어서 올라가면 좋겠다.

 

 

 

 

 

정말 하루 종일 걸어 다녀도 발바닥이 아플 것 같지 않은 흙길

세상의 문명 앞에 편리함 앞에 갈수록 흙길이 사라져 가는 것이 아쉽기만 하다.

 

 

 

 

 

보면 볼수록 매력적인 소나무 숲과 고운 빛깔의 단풍들

도심 속에서는 느껴볼 수 없는 자연 속에서 즐기는 힐링의 묘미

 

 

 

 

 

 

나뭇잎 사이로 바라보는 푸른 하늘은 호수를 닮았다.

 

 

 

 

 

 

고운사에 가기 전 많은 사람들이 모임을 가져도 될 정도의 넓은 잔디밭이 나온다.

아직 까진 절은 속세와 동떨어진 느낌을 많이 받는 곳인데 이제는 그런 청정지역도 드물다.

차량을 이용하기보단 도보로, 음식을 먹고 즐기기보다는 자연을 벗 삼아

심심의 피로를 씻고 가는 정도면 참 좋을 것 같은데

세상은 나만의 이기심으로 타인의 불편함은 돌아볼 줄 모른다.  

 

 

 

 

 

일주문이 멀지 않았는데 나무 두 그루가 내가 일주문인 양 으스대고 있다.

 

 

 

 

 

 

고운사는 입구에서부터 절까지 길게 이어진 소나무 숲 길이 주는 아늑함이 정말 좋다.

나무들 사이로 빛나는 햇살의 따사로움을 맘껏 즐기며 걷는 기분은 고운사에서만  느껴볼 수 있는 행복이다.

 

 

 

 

 

세상의 흐름을 따라가다 보니 절도 변화를 시도한다.

갈수록 천년고찰로서의 풍모는 퇴색되어가고 시대와 타협하는 모습으로 탈바꿈한다.

보이지 않던 새로운 건물들이 하나 둘 늘어나고 절은 수도 도량의 역할보단 세상밖의 행보에 관심이 더 많다.

 

 

 

 

 

백련암

 

알록달록 현란한 단풍색은 아니지만 느티나무의 잎도 은은하게 물들어가니

보기에도 궨찮고 가을날의 정취가 한층 더 깊어진 듯하다.

예전에는 백련암 가기 전에 작은 저수지가 있었던 것 같은데 지금은 흔적을 찾아볼 수 없어 아쉽다.

변화의 물결은 과거의 흔적마저 사라지게 한다.

 

 

 

 

 

일주문

 

일주문은 기둥을 한줄로 세워 만든 문이라고 하는데 이문을 경계로 하여

문 밖을 속계(俗界)라고 부른다.

 

 

 

 

 

천왕문과 사천왕상

 

어릴 적엔 꿈에 나타날까 두러웠던 사천왕상도

다 큰 지금에야 보니 오히려 친근하고 익살스럽다.

 

 

 

 

 

고불전

 

오래된 석불을 봉안해 놓은 아주 작은 전각으로 요철 모양의 구조가 특이한 전각이다.

 

 

 

 

 

 

가운루

 

최치원이 지었다고 하여 우각이며 우리나라의 아름다운 건축물로 꼽힌다고 한다.

 

 

 

 

 

 

가운루에서 바라본 우화루와 범종각

 

우화루도 최치원이 지었으며 극락전 아래에서 법당의 보조적인 역할을 한다.

고운사 경내가 중창불사가 한창이라서 정돈되지 않고 많이 어수선하다.

 

 

 

 

 

극락전

 

아미타 부처님과 관세음ㆍ대세지 두 보살을 모시고 있는 법당이며 현재의 대웅보전이 신축되기 전까지

고운사의 큰 법당 역할을 하던 유서 깊은 건물로 오래된 단청의 모습만 보아도 세월의 깊이를 느낄 수 있다.

 

 

 

 

 

대웅보전

 

석가모니불과 문수보살ㆍ보현보살을 모시고 있는 고운사의 큰법당이며

1992년도에 완공된 50평 규모의 전각이다.

 

 

 

 

 

각종 전각들이 모여있는 곳이다.

푸른 가을 하늘을 담은 고운사의 모습은 가을날의 아름다움을 맘껏 발산하고 있다.

 

 

 

 

 

만세문과 연수전

 

연수전은 영조가 내린 어첩을 봉안하던 건물로 현재의 건물은 고종이 다시 지었다 한다.

임금의 장수를 기원하던 곳으로 우리나라 사찰에서는 볼 수 없는 건축형태와 벽화를 보여준다.

 

 

 

 

 

대웅보전과 가을 빛이 곱게 내려앉은 주변 풍경은

이곳이 정말 명당자리라는 걸 말해주는 듯 아름다움과 아늑함과 편안함을 가져다준다.

 

 

 

 

 

복잡하고 살벌한 세상을 떠나 잠시나마 지친 심신을 달래기에는 산사만큼 적당한 곳도 없다.

가진 것 없는 인생일지라도 이 순간만큼은 세상의 모든 속된 욕망에서 벗어나고 싶다.

 

 

 

 

 

천천히 내 맘대로 내 발길 닿는 데로 걸어볼 수 있었던 날이 삶의 전체에서 얼마나 되는 걸까.

모든 것을 책임질 나이임에도 난 아직까지도 혼자 떠나는 것에 대한 망설임을 가지고 있다.

그렇지만 잠시나마 나 자신을 잊고 온전한 세상을 즐길 여유가 있는 지금의 시간이 너무 좋다.

 

 

 

 

 

 

 

 

 

 

 

 

호랑이 벽화